본문 바로가기

ReVIEW

소프트웨어 코딩 교육에 대하여

-소프트웨어 코딩 교육용 언어 소개-

  2018년 부터 의무교육이 추진 예정인 소프트웨어 코딩교육의 교육용 프로그램 코딩 언어에 대하여 알아보자. 먼저 코딩 교육을 배운다고하여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되는것이 아님을 알아야 하며, 코딩 교육은 단지 프로그램 관련 사고력, 창의력, 순서도 등을 익히는데 도움이될 것으로 예상된다.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91333

코딩(Coding)에플리케이션 · 홈페이지 개발 · 아이디어 기획 및 디자인하고 이를 프로그램 명령어를 사용해 상품화 하는 작업이다. 예를 들어 검색창에 '사과'를 입력하면 관련 정보가 나오도록 프로그램화 하는 것을 말한다. - 매경 시사용어 사전 -

 

코딩(Coding)  - 컴퓨터 정보용어 대사전 -

[1] 데이터 처리 장치가 받아들일 수 있는 기호형식에 의해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

[2] 프로그램 언어 또는 기계 언어를 써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것.

 

 기존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텍스트 중심의 ‘C언어’로 전문성이 요구되며 어렵고 복잡하게 구성되어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으나, 코딩은 볼록형 코드인 블록 기반, 그래픽 프로그램 언어로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쉽게 프로그래밍화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만든다는 개념보다는 알고리즘의 원리를 배우는 과정과 다양한 언플러그드 활동을  통하여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전문적인 프로그램 언어와는 달리 어린아이들도 흥미를 가지고 쉽게 배울 수 있다.

 그러면 최근 들어 소프트웨어 코딩 교육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언어는 무엇일까? 가장 유명한 것은 스크래치(Scratch)MIT 미디어랩에서 어린이용으로 개발한 것이다(DOS 시절 LOGO 언어와 유사). 국내의 경우 2013엔트리연구소가 만든 엔트리(entry)”가 있으며 이는 스크래치와 매우 유사하고 2015네이버에 인수되었다.

 스크래치 홈페이지 https://scratch.mit.edu/

 

 

스크래치 2.0 OffLINE Version 실행 화면

 다운로드 : https://scratch.mit.edu/scratch2download/

 

엔트리 홈페이지 https://playentry.org/#!/

 SW교육/소프트웨어 교육 도구 엔트리와 스크래치 차이점

[출처] SW교육/소프트웨어 교육 도구 엔트리와 스크래치 차이점

작성자 송상수 http://blog.naver.com/gi_sik_in/220426091526

 

 그리고 스마트폰스마트 로봇 런처 앱, 알버트(SK Telecom 개발)”라는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로봇 코딩 – 스마트폰과 로봇을 블루투스로 페어링 후 앱상에서 코딩하여 "알버트" 로봇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는 모니터만을 보면서 배우고 익히는 코딩 교육과 비교하여 좀더 흥미있는 코딩 교육용 보조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아이미디어 공작소 https://www.facebook.com/imatelier

 

 블록 형태의 캐릭터를 움직이며 배우는 MINE CRAFT 형태의CODE.ORG  https://code.org/ 등이 있다.

 

참고 : 20 여년전  DOS시절 사용하였던 현재의 코딩 프로그램 언어와 유사한 LOGO Writer⁠ (Text 입력 방식)

 개인적인 의견으로 작금의 코딩 교육 열풍이 교육의 참 목적이 무엇인지를 망각하지않으면서, 스쳐지나가는 바람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