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우주를 관찰하는 금빛 거울, 제임스웹] 제임스웹은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주경이 지름이 2.7배, 면적은 6배 더 크기 때문에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100배 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 허블로는 희미하게 포착됐던 천체의 모습을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단 12시간 만에 허블로 포착한 것보다 5,000만 년 더 오래된 은하를 관찰함 [해마다 살아남는 다년생 벼 개발] 중국 윈난대 연구진은 생산성이 좋은 아시아 쌀 품종과 아프리카에서 자라는 다년생 야생 쌀을 교배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다년생 쌀23(PR23) 품종을 개발했는데, PR23의 재배를 통해 각 재성장 주기에서 노동력은 58.1%, 투입 비용은 49.2%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창의력을 갖춘 인공지능(AI)] 게임 디자이너인 제이슨 앨런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개발했으며,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여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예측한 AI, 인간 수학자들이 수십 년 동안 풀지 못한 연산을 푸는 지름길을 찾아낸 AI 등 여러 인공지능이 창의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냄 [초대형 박테리아 발견] 기존 박테리아보다 5,000배 큰 초대형 박테리아인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Thiomargarita magifica)’를 발견했는데, 박테리아는 대부분 길이가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인데 이 박테리아는 길이가 1㎝에 이르며 진핵생물과 원핵생물로 생명체를 나누던 전통적인 구분을 뒤흔들 혁명적 발견으로 평가됨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백신, 승인 임박] 급성호흡기감염병을 일으키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는 영유아나 면역이 약한 고령자가 감염되면 치명적인데, 글로벌 제약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화이자는 올해 RSV 백신 개발에 성공하고, 각국 규제 기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음 [다발성 경화증 원인 규명]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체계가 건강한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그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었는데,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다발성 경화증을 유발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바이러스가 신경 손상을 일으키는 메커니즘까지 규명하여 ‘네이처’에 발표함 [美, 획기적 기후 법안 통과] 미국은 기후변화 대응, 법인세 인상 등을 골자로 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서명했는데,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국가인 미국이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법안을 통과시킨 첫 번째 사례라는 점에서 IRA가 올해의 과학성과 중 하나로 꼽힘 [유럽인의 유전자에서 발견된 흑사병의 흔적] 인간의 면역 유전자는 새로운 병원체에 대한 반응으로 자주 변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사람에게서 흔적을 탐지하는 것이 불가능해 흑사병의 흔적을 탐지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캐나다 맥매스터대 연구진은 흑사병으로 사망한 사람의 뼈에서 오래된 DNA를 분석해 면역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 356개 중 흑사병 이후 245개의 유전자가 변이를 일으켰다는 사실을 알아냄 [우주선으로 소행성 충돌 막는 다트 미션] 미국 항공우주선은 지름 160m의 소행성 ‘디모르포스(Dimorphos)’에 냉장고 크기의 무인 우주선인 다트(DART)를 충돌시켰는데,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의 궤도를 인공적으로 바꿔 인류를 지키기 위한 실험이 성공을 거둔 것으로 디모르포스의 공전 주기를 22분 단축시킴 [DNA로 재구성한 고대 그린란드 생태계] 인류가 해독한 가장 오래된 DNA는 약 100만 년 전의 것이었는데 영국과 덴마크 공동 연구진은 그린란드 지층에서 채집한 토양 시료에서 최소 200만 년 된 DNA를 찾아내 해독했으며, DNA 해독 결과 200만 년 전 그린란드는 침염수가 울창한 숲에서 투구게, 순록, 코끼리의 조상인 마스토돈이 뛰어놀았던 것으로 추정됨 출처: ![]() |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언스, 2024년 화제가 될 10대 과학 이슈 전망 (0) | 2024.01.16 |
---|---|
사이언스 선정 2023년 최고의 과학 성과는 - 기적의 비만치료제 (0) | 2023.12.18 |
사이언스 선정, 2022년 과학기술 혁신성과 (0) | 2023.01.16 |
디지털 전환 시대, NIA가 전망한 환경변화 13대 이슈 (1) | 2022.06.24 |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를 읽는 기술,,,,? (0) | 2021.02.08 |